웹 페이지를 만들 때 사용하는 HTML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HTML 문서의 구조

<html>과 </html> 사이에 모든 내용이 포함된다.

HTML 문서는 크게 <head> 영역과 <body>영역으로 구성.

 

head 영역

웹 페이지의 정보를 정의하는 영역.

head영역에 들어가는 요소(element)

- title : 웹 브라우저의 제목 표시줄에 출력

- meta : 브라우저가 사용할 정보를 입력

- base : 기본 링크페이지의 정보를 입력

-script : 자바스크립트를 작성.

- style : 스타일시트를 작성

- link : 외부 파일로 작성한 스크립트나 스타일 시트를 불러오는 태그.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여기는 기본 페이지 입니다.
<div id="map" style="width:500px;height:400px;"></div>
	
</body>
</html>
 

'HTML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과 인라인  (0) 2022.08.29
멀티미디어 태그 (image, audio, video)  (0) 2022.08.29
<list> 태그 / <table> 태그  (0) 2022.08.29
수평선 <hr> / 링크걸기 <a> 태그  (0) 2022.08.29
HTML 태그와 텍스트 관련 태그  (0) 2022.08.29

리눅스에는 파일, 디럭테리 마다 소유권과 허가권 속성이 있음.

파일유형
허가권
링크 수
소유자
소유그룹
파일크기
변경일
파일명
-
rw-r--r--
1
root
root
62
11월 ...
test.txt

 

# 파일유형

d : 디렉터리

- : 일반파일

b : 블록 디바이스 (저장장치)

c : 문자 디바이스 (입력장치)

ㅣ: 링크 ( windows의 아이콘과 비슷한 개념 )

 

# 파일 허가권

rw-, r--, r-- 로 3개씩 끊어서 읽으며 각각 관리자, 그룹, 사용자를 나타냄

r = read , w = write, x = execute 를 나타냄.

즉 rw-r--r-- 는 '관리자는 읽고 쓰기 가능, 그룹은 읽기만, 소유자는 읽기만 가능' 이라는 뜻.

 

허가권을 변경할 경우 chmod 777 sample.txt 식으로 변경할 수 있음.

단, chmod 명령어는 root 또는 파일의 소유자만 변경할 수 있다.

 

 

# 파일 소유권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 또는 그룹을 의미.

chown 명령어로 소유권 변경 가능.

-> chown 계정명 파일명 ( ex: chown ubuntu test )

chgrp 을 사용하면 그룹도 변경 가능

-> chgrp 그룹명 파일명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역 환경변수 등록하기  (0) 2022.09.14
Vim 단축키  (0) 2022.08.29
파일 열기 (cat, head, tail, less)  (0) 2022.08.29
디렉터리 생성 (mkdir) , 삭제 (rmdir)  (0) 2022.08.29
파일 복사 (cp) , 파일 이동 (mv)  (0) 2022.08.29

문제시 삭제

얄팍한 코딩사전 Vim 단축키

 

 

 

 

1. cat

conCATenate 약자.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 cat a.txt b.txt
a.txt 와 b.txt 파일을 연결해서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2. head, tail

- head : 파일 내용의 앞 n행만 화면에 출력 ( n 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으면 10행이 기본값 )

- tail : 파일 내용의 뒤 n행만 화면에 출력 ( n 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으면 10행이 기본값 )

# head /etc/systemd/bootchart.conf
해당 파일의 앞 10행을 화면에 출력
# head -3 /etc/systemd/bootchart.conf
앞 3행만 화면에 출력
# tail -3 /etc/systemd/bootchart.conf
뒤에서 5행만 화면에 출력 (로그 확인용으로 자주 사용)

 

3. less

텍스트 형식의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화면에 출력.

more와 비슷하지만 more에 추가 기능이 포함됨.

- space bar : 다음 페이지 이동

- B : 앞 페이지로 이동

- Q : 종료

- 추가기능 : Page Up , Page Down , 화살표 방향키 사용 가능

# less /etc/systemd/system.conf
system.conf 파일을 출력
# less +10 /etc/systemd/system.conf
system.conf 파일의 10행부터 출력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유형, 허가권, 소유권  (0) 2022.08.29
Vim 단축키  (0) 2022.08.29
디렉터리 생성 (mkdir) , 삭제 (rmdir)  (0) 2022.08.29
파일 복사 (cp) , 파일 이동 (mv)  (0) 2022.08.29
파일 압축 (xz , bzip2, gzip ,zip|unzip)  (0) 2022.08.29

 

1. mkdir

Make Directory.

디렉터리를 생성함. 생성된 디렉토리는 생성한 사용자의 소유가 됨.

# mkdir abc
현재 디렉토리에 abc 라는 하위 디렉토리 생성
# mkdir -p /def/fgh
/def/fgh 디렉터리를 생성. 만약 def 디렉토리가 없다면 생성 후 fgh 생성

 

2. rmdir

Remove Directory.

디렉터리를 삭제함. 삭제 권한이 필요함.

디렉터리 내부가 비어있어야 삭제 가능. ( 파일까지 삭제하려면 rm -r 을 실행해야 함.)

# rmdir abc
/abc 디렉터리를 삭제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m 단축키  (0) 2022.08.29
파일 열기 (cat, head, tail, less)  (0) 2022.08.29
파일 복사 (cp) , 파일 이동 (mv)  (0) 2022.08.29
파일 압축 (xz , bzip2, gzip ,zip|unzip)  (0) 2022.08.29
파일(디렉터리) 삭제 (rm)  (0) 2022.08.29

 

1. cp

Copy의 약자.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복사함.

복사한 파일은 복사한 사용자의 소유가 된다. 따라서 복사에는 읽기 권한이 필요함.

# cp abc.txt cba.txt
abc.txt. 파일을 cba.txt라는 이름으로 바꿔서 복사
# cp -r abc cba
디렉터리 복사. abc 디렉터리를 cba 디렉터리로 이름 변경

 

 

2. mv

Move 의 약자.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다른 디렉터리로 옴길때 사용.

# mv abc.txt /etc/systemd
abc.txt를 /etc/systemd 디렉터리로 이동
# mv aaa bbb ccc ddd
aaa, bbb, ccc 파일을 /ddd 디렉터리로 이동
# mv abc.txt www.txt
abc.txt의 이름을 www.txt로 변경해서 이동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열기 (cat, head, tail, less)  (0) 2022.08.29
디렉터리 생성 (mkdir) , 삭제 (rmdir)  (0) 2022.08.29
파일 압축 (xz , bzip2, gzip ,zip|unzip)  (0) 2022.08.29
파일(디렉터리) 삭제 (rm)  (0) 2022.08.29
List 보기 (ls)  (0) 2022.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