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란 코드 작성 시 필요한 각각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나눠 둔 것을 말한다.
다중 행 함수란 WHERE 절에서 만족하는 데이터들을 검색한 후 연산하여 하나의 행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SQL에서 지원하는 다중행 함수로는 대표적으로 5가지가 있다.
1) SUM()
2) AVG()
3) MAX()
4) MIN()
5) COUNT()
이번에 사용하는 테이블은 전과 같은 BOOK 테이블을 사용한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 SUM()
SUM() 함수는 합계를 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이블에서 책의 가격의 총 합을 출력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이 쿼리를 작성한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AVG()
AVG() 함수는 평균을 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이블에서 책의 가격 평균을 출력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이 쿼리를 작성한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3. MIN()
MIN() 함수는 최솟값을 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이블에서 가장 저렴한 책을 출력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이 쿼리를 작성한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4. MAX()
MAX() 함수는 최댓값을 구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이블에서 가장 고가의 책을 출력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이 쿼리를 작성한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5. COUNT()
COUNT() 함수는 위의 함수들과 조금 달리 행의 갯수를 구해주는 역활을 한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현재 INSERT 한 데이터가 5개이므로 쿼리 실행시 5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NULL 값이 있다면 어떻게 처리될까 싶어 만화책이라는 데이터를 추가하였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그리고 다시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실행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즉, NULL 값은 COUNT() 함수에서 카운팅되지 않는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B > 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DEX (0) | 2022.08.28 |
---|---|
VIEW (feat. OR REPLACE) (0) | 2022.08.28 |
시퀀스 (SEQUENCE) (0) | 2022.08.28 |
SYNONYM(동의어) (0) | 2022.08.28 |
ABS, CEIL, FLOOR, ROUND, MOD, TRUNC, LOWER, UPPER (0) | 2022.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