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와 서블릿
client side와 Server side
JSP는 client side의 프로그래밍 방식.
Suvlet 은 server side 방식.
JSP
HTML 코드에 자바 코드를 삽입.
서버에서 보내진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작성.
JSP 페이지의 기본 구성
1. JSP 페이지의 문성 종류(Type)
2. HTML 코드
JSP 문법
1. <% 로 시작해서 %> 로 끝나는 형태
2. ${ 로 시작해서 } 로 끝나는 형태 ==> 결과 출력
3. <c:if> 등과 같은 형태
지시자와 스트립팅 요소
1. 지시자(directive) - <%@ %>
: 웹 컨테이너(톰켓)가 JSP 페이지를 서블릿 클래스로 변환할 때 필요한 정보를 기술.
: page - 기본적으로 포함.
:: import - 자바 라이브러리를 포함시키는 속성.
:: session - 세션 사용 여부. (true / false)
:: errorPage - 예외 처리용 페이지 지정. (ex: 404, 500 에러 발생 시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킴.)
:: isErrorPage - 이 jsp 페이지는 예외처리용 페이지임을 나타내는 속성 (true / false)
: include - 현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를 포함.
:: file - 포함시킬 페이지 파일명 작성.
2. 스크립틀릿(scriptlet) - <% %>
: HTML 코드 사이에 JAVA 코드를 삽입한 부분.
3. 표현식(expression) - <%= %>
: JAVA 코드를 실행한 결과를 브라우저에 출력하기 위한 영역(변수, 수식, 메소드 등)
4. 선언부(declaration) - <%! %>
: 메소드, 상수 등을 선언할 때 사용.
내장 객체(참조변수)
request - 요청 객체. 사용자의 입력 값을 포함.
response - 응답 객체.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할 값을 포함하는 객체.
out
application - 웹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와 기능 제공. 주요 기능으로 컨텍스트 경로와 절대 경로 처리.
exception - 예외 사항 처리용 객체.
pageContext - 현재 페이지의 요청, 응답의 제어권을 다른 페이지로 넘김.(페이지 이동)
session - 접속 유지를 위한 정보 처리. request, response와 같이 데이터를 담을 수 있음.(데이터 전달에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