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신규 개발서버에서 오라클의 DATE형이 이상하게 나오거나 아얘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기며

원인파악 하는데 많은 분들이 애를 먹었다.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된건 JDBC와 서버 OS의 시간설정의 기본값이 미국으로 지정되어

한국의 DATE형이 정상적으로 계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서버에 시간설정에 대한 환경변수를 설정하였다.

 

환경변수도 계정에 따라 달라지는 지역 환경변수와 모든 계정에서도 사용되는 전역 환경변수가 있다고 한다.

리눅스가 다중사용자 시스템이라 그런가 싶다.

이번에는 최근 작업한게 전역 등록이므로 전역에 대해 정리한다.

 

 

1. 환경변수 확인하기

$ env (글로벌전역변수)

$ env | grep [환경변수명]

$ export  

$ set (지역전역변수)

 

2. 환경변수 등록하기

변수 등록에는 한번만 등록(서버재접속시 사라짐)과 영구등록이 있는데

한번 등록은 쓸일이 없을 것 같아 우선은 영구등록만 정리

 

vi로 bashrc 파일을 실행해보자.

$ vi ~/.bashrc

 

아래와 같이 주석으로 환경변수 세팅에 대한 예시가 들어있다.

# export SYSTEMD_PAGER = 

 

주석 바로 밑에 기본 시간설정을 한국시간으로 잡는 환경변수를 등록해보자.

# export SYSTEMD_PAGER = 
export LANG=ko_KR.UTF-8

 

입력 후 :wq 저장 후 vi를 종료한다.

 

다시 env등의 명령어로 환경변수를 확인해보면 LANG=ko_KR.UTF-8 이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https://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_env,_printenv

 

리눅스 env, printenv - 제타위키

다음 문자열 포함...

zetawiki.com

 

*JDBC와 OS 시간설정에 대한 글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anccii&logNo=220992089311 

 

ORA-01861: literal does not match format string

ORA-01861: literal does not match format string ORA-01861: 리터럴이 형식 문자열과 일치하지 않...

blog.naver.com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유형, 허가권, 소유권  (0) 2022.08.29
Vim 단축키  (0) 2022.08.29
파일 열기 (cat, head, tail, less)  (0) 2022.08.29
디렉터리 생성 (mkdir) , 삭제 (rmdir)  (0) 2022.08.29
파일 복사 (cp) , 파일 이동 (mv)  (0) 2022.08.29

리눅스에는 파일, 디럭테리 마다 소유권과 허가권 속성이 있음.

파일유형
허가권
링크 수
소유자
소유그룹
파일크기
변경일
파일명
-
rw-r--r--
1
root
root
62
11월 ...
test.txt

 

# 파일유형

d : 디렉터리

- : 일반파일

b : 블록 디바이스 (저장장치)

c : 문자 디바이스 (입력장치)

ㅣ: 링크 ( windows의 아이콘과 비슷한 개념 )

 

# 파일 허가권

rw-, r--, r-- 로 3개씩 끊어서 읽으며 각각 관리자, 그룹, 사용자를 나타냄

r = read , w = write, x = execute 를 나타냄.

즉 rw-r--r-- 는 '관리자는 읽고 쓰기 가능, 그룹은 읽기만, 소유자는 읽기만 가능' 이라는 뜻.

 

허가권을 변경할 경우 chmod 777 sample.txt 식으로 변경할 수 있음.

단, chmod 명령어는 root 또는 파일의 소유자만 변경할 수 있다.

 

 

# 파일 소유권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 또는 그룹을 의미.

chown 명령어로 소유권 변경 가능.

-> chown 계정명 파일명 ( ex: chown ubuntu test )

chgrp 을 사용하면 그룹도 변경 가능

-> chgrp 그룹명 파일명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역 환경변수 등록하기  (0) 2022.09.14
Vim 단축키  (0) 2022.08.29
파일 열기 (cat, head, tail, less)  (0) 2022.08.29
디렉터리 생성 (mkdir) , 삭제 (rmdir)  (0) 2022.08.29
파일 복사 (cp) , 파일 이동 (mv)  (0) 2022.08.29

문제시 삭제

얄팍한 코딩사전 Vim 단축키

 

 

 

 

1. cat

conCATenate 약자.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 cat a.txt b.txt
a.txt 와 b.txt 파일을 연결해서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

 

2. head, tail

- head : 파일 내용의 앞 n행만 화면에 출력 ( n 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으면 10행이 기본값 )

- tail : 파일 내용의 뒤 n행만 화면에 출력 ( n 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으면 10행이 기본값 )

# head /etc/systemd/bootchart.conf
해당 파일의 앞 10행을 화면에 출력
# head -3 /etc/systemd/bootchart.conf
앞 3행만 화면에 출력
# tail -3 /etc/systemd/bootchart.conf
뒤에서 5행만 화면에 출력 (로그 확인용으로 자주 사용)

 

3. less

텍스트 형식의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화면에 출력.

more와 비슷하지만 more에 추가 기능이 포함됨.

- space bar : 다음 페이지 이동

- B : 앞 페이지로 이동

- Q : 종료

- 추가기능 : Page Up , Page Down , 화살표 방향키 사용 가능

# less /etc/systemd/system.conf
system.conf 파일을 출력
# less +10 /etc/systemd/system.conf
system.conf 파일의 10행부터 출력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유형, 허가권, 소유권  (0) 2022.08.29
Vim 단축키  (0) 2022.08.29
디렉터리 생성 (mkdir) , 삭제 (rmdir)  (0) 2022.08.29
파일 복사 (cp) , 파일 이동 (mv)  (0) 2022.08.29
파일 압축 (xz , bzip2, gzip ,zip|unzip)  (0) 2022.08.29

 

1. mkdir

Make Directory.

디렉터리를 생성함. 생성된 디렉토리는 생성한 사용자의 소유가 됨.

# mkdir abc
현재 디렉토리에 abc 라는 하위 디렉토리 생성
# mkdir -p /def/fgh
/def/fgh 디렉터리를 생성. 만약 def 디렉토리가 없다면 생성 후 fgh 생성

 

2. rmdir

Remove Directory.

디렉터리를 삭제함. 삭제 권한이 필요함.

디렉터리 내부가 비어있어야 삭제 가능. ( 파일까지 삭제하려면 rm -r 을 실행해야 함.)

# rmdir abc
/abc 디렉터리를 삭제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m 단축키  (0) 2022.08.29
파일 열기 (cat, head, tail, less)  (0) 2022.08.29
파일 복사 (cp) , 파일 이동 (mv)  (0) 2022.08.29
파일 압축 (xz , bzip2, gzip ,zip|unzip)  (0) 2022.08.29
파일(디렉터리) 삭제 (rm)  (0) 2022.08.29

 

1. cp

Copy의 약자.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복사함.

복사한 파일은 복사한 사용자의 소유가 된다. 따라서 복사에는 읽기 권한이 필요함.

# cp abc.txt cba.txt
abc.txt. 파일을 cba.txt라는 이름으로 바꿔서 복사
# cp -r abc cba
디렉터리 복사. abc 디렉터리를 cba 디렉터리로 이름 변경

 

 

2. mv

Move 의 약자.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다른 디렉터리로 옴길때 사용.

# mv abc.txt /etc/systemd
abc.txt를 /etc/systemd 디렉터리로 이동
# mv aaa bbb ccc ddd
aaa, bbb, ccc 파일을 /ddd 디렉터리로 이동
# mv abc.txt www.txt
abc.txt의 이름을 www.txt로 변경해서 이동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열기 (cat, head, tail, less)  (0) 2022.08.29
디렉터리 생성 (mkdir) , 삭제 (rmdir)  (0) 2022.08.29
파일 압축 (xz , bzip2, gzip ,zip|unzip)  (0) 2022.08.29
파일(디렉터리) 삭제 (rm)  (0) 2022.08.29
List 보기 (ls)  (0) 2022.08.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