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신규 개발서버에서 오라클의 DATE형이 이상하게 나오거나 아얘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기며
원인파악 하는데 많은 분들이 애를 먹었다.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된건 JDBC와 서버 OS의 시간설정의 기본값이 미국으로 지정되어
한국의 DATE형이 정상적으로 계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서버에 시간설정에 대한 환경변수를 설정하였다.
환경변수도 계정에 따라 달라지는 지역 환경변수와 모든 계정에서도 사용되는 전역 환경변수가 있다고 한다.
리눅스가 다중사용자 시스템이라 그런가 싶다.
이번에는 최근 작업한게 전역 등록이므로 전역에 대해 정리한다.
1. 환경변수 확인하기
$ env (글로벌전역변수)
$ env | grep [환경변수명]
$ export
$ set (지역전역변수)
2. 환경변수 등록하기
변수 등록에는 한번만 등록(서버재접속시 사라짐)과 영구등록이 있는데
한번 등록은 쓸일이 없을 것 같아 우선은 영구등록만 정리
vi로 bashrc 파일을 실행해보자.
$ vi ~/.bashrc
아래와 같이 주석으로 환경변수 세팅에 대한 예시가 들어있다.
# export SYSTEMD_PAGER =
주석 바로 밑에 기본 시간설정을 한국시간으로 잡는 환경변수를 등록해보자.
# export SYSTEMD_PAGER =
export LANG=ko_KR.UTF-8
입력 후 :wq 저장 후 vi를 종료한다.
다시 env등의 명령어로 환경변수를 확인해보면 LANG=ko_KR.UTF-8 이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https://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_env,_printenv
리눅스 env, printenv - 제타위키
다음 문자열 포함...
zetawiki.com
*JDBC와 OS 시간설정에 대한 글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anccii&logNo=220992089311
ORA-01861: literal does not match format string
ORA-01861: literal does not match format string ORA-01861: 리터럴이 형식 문자열과 일치하지 않...
blog.naver.com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유형, 허가권, 소유권 (0) | 2022.08.29 |
---|---|
Vim 단축키 (0) | 2022.08.29 |
파일 열기 (cat, head, tail, less) (0) | 2022.08.29 |
디렉터리 생성 (mkdir) , 삭제 (rmdir) (0) | 2022.08.29 |
파일 복사 (cp) , 파일 이동 (mv) (0) | 2022.08.29 |